
태권도 선교사가 도장을 경영하는 목적은 오직 복음을 전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는 성경적 원리 안에서 경제 활동을 해야 하며 복음적 경영 방식도 태권도선교의 재생산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경제 원리는 소비자에게 물건의 가치에 합당한 가격을 받는 것입니다. 중세 그리스도인들은 최고의 물건을 만들어서 최저의 가격에 파는 것을 이웃사랑과 섬김을 실천하는 것으로 여겼고, 물건 값을 정하는 것을 신앙의 윤리로 생각했습니다. 태권도 선교사 역시 최고의 태권도 실력을 유지하기 위해 훈련을 게을리 하지 않는 것과 수업료를 결정하는 것은 선교사로서 기독교 윤리 뿐 아니라 商 윤리에 해당되는 일입니다.
그래서 태권도 선교사는 개인훈련을 성실하게 하여 수련자들에게 최고의 태권도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복음을 전하는 선교사로서 올바른 복음을 전하기 위해 성경과 신학을 연구해야 합니다.
선교지에서 태권도 선교사는 다중적 역할을 합니다. 복음을 전하는 전도자 역할, 태권도를 가르치는 사범 역할, 수련자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멘토 역할, 교육자 역할, 그리고 태권도장을 경영하는 경영자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환경과 능력에 따라서 다양한 역할을 감당합니다.
태권도 선교사는 단순히 태권도 기술체계를 중심으로 한 태권도 사범을 재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태권도 수련과 관련된 다양한 역할까지 포괄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태권도 기술체계, 정신체계, 신앙체계, 그리고 도장 경영을 포함한 운영체계를 통합적으로 지도하여, 총체적 태권도 선교의 재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현지인 제자를 통해 태권도 선교를 지속적으로 재생산하기 위해서는 태권도장이 재정적으로 독립 가능한 경영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태권도 선교사가 운영하는 태권도장은 이익을 창출하는 정상적인 경영구조를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수련자가 많아도 사역자의 생활비와 도장 운영비를 충당할 만큼의 수입을 내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결국 후원 교회와 후원자들에게 재정적으로 의존하게 됩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현지인 제자를 통한 총체적 태권도 선교의 재생산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태권도 선교의 대상이 항상 경제적으로 어려운 계층만을 상대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교 대상은 현지의 상황과 태권도 선교사의 선교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강료의 유·무료 여부, 수업료의 수준 등은 선교사가 처한 환경에서 태권도를 통해 복음을 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태권도장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만큼 준비된 제자가 있을 때는 태권도 지도 능력은 물론 영적 지도자로서 인정받을 만큼 실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복음적 경영을 할 수 있도록 성경적 경영관을 가르쳐서 태권도를 통해 복음이 훼손되지 않고 올바로 전달되도록 지도하여 태권도장 경영을 통해 총체적태권도선교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